[K술 미래, 사케에서 찾다] 수백 년 전통에 ‘젊음·혁신’ 더해 세계의 술로…

이대진 기자 djrhee@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일본 후쿠오카현 시라이토 양조장에서 전통을 잇고 있는 ‘하네기’ 술짜기 공정. 나무 한쪽에 무거운 돌을 매달아 48시간 동안 술을 짜낸다. 일본 후쿠오카현 시라이토 양조장에서 전통을 잇고 있는 ‘하네기’ 술짜기 공정. 나무 한쪽에 무거운 돌을 매달아 48시간 동안 술을 짜낸다.

우리나라 전통주가 다시 붐이다. 젊은이·어르신 할 것 없이 우리 술 배우기 열풍이고 전국적으로 양조장이 생겨나고 있다. 국내 주류시장의 전통주 비중은 아직 1% 수준. 미래 전망은 엇갈린다. ‘반짝 인기’를 우려하는 시선도 있고, 급속도로 성장할 거란 장밋빛 전망도 나온다. K술의 대중화·세계화를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부산일보>는 <서일본신문사>과 공동취재로, 우리보다 먼저 세계로 진출한 ‘사케(일본술)’의 현재를 살피고 우리 술의 미래를 짚어 본다. 전통주 전문가인 조태영 대표(양조장 ‘기다림’)와 사케 전문가 다카미 히로유키 대표(‘알 유니콘 인터내셔널’)가 동행했다.


■ 170년 전통과 최신 기술의 만남

일본 규슈 후쿠오카현, 쌀 산지로 유명한 이토시마 지역의 한 도로변. 커다란 붓글씨체로 ‘白糸’(시라이토)라 적힌 건물이 눈에 들어온다. 1855년 창업해 지역 대표 양조장으로 자리잡은 시라이토 주조의 본거지다. 취재진을 반갑게 맞이한 은발의 다나카 노부히코(70) 대표는 7대째 가업을 잇고 있다.

그의 안내에 따라 양조장 건물 내부로 들어서자 거대한 나무 지렛대 모양의 기구가 눈에 들어온다. ‘하네기’라 불리는 전통 술짜기 방식이다. 오후 2시께, 직원 2명이 달라붙어 8m 길이의 참나무 한쪽 끝에 커다란 돌을 하나씩 매달기 시작한다. ‘쩍쩍’ 무게에 눌린 나무끼리 맞부딪히는 소리가 울려 퍼진다. 소리가 커질수록 기구 아래 놓인 통으로 걸러진 술이 채워진다.

하네기 방식으로 술을 짜는 건 일본 전체에서 시라이토 양조장이 유일하다. 생산 속도와 양을 늘리기 위해 양조장마다 술짜기 공정을 기계로 바꿨지만 시라이토는 170년째 전통을 고집한다. 다나카 대표는 “하네기는 술 한 통을 짜는 데 꼬박 48시간이 걸리고 정말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이지만, 기계가 할 수 없는 부드러운 맛을 낼 수 있다”며 “나무와 돌의 조합이 맞아야 하기 때문에 1855년도부터 지금껏 똑같은 기구를 그대로 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 산지로 유명한 후쿠오카현 이토시마 지역에 위치한 시라이토 양조장. 쌀 산지로 유명한 후쿠오카현 이토시마 지역에 위치한 시라이토 양조장.
시라이토 양조장 다나카 노부히코 대표가 170년 전통의 ‘하네기’ 공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시라이토 양조장 다나카 노부히코 대표가 170년 전통의 ‘하네기’ 공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시라이토 양조장의 발효실. 1500L짜리 대형 발효조 14개를 갖췄다. 시라이토 양조장의 발효실. 1500L짜리 대형 발효조 14개를 갖췄다.

그러고 보니 그가 건넨 명함의 로고도 ‘하네기’를 본뜬 것이다. 전통에 대한 자부심, 양조장의 근간이 로고 하나에 담겼다. 다나카 대표가 즉석에서 걸러지고 있는 원주를 받아 취재진에게 건넸다. 보통의 사케와는 다른, 갓 짜낸 신선함이 느껴지는 맛이다.

마지막 공정인 술짜기는 에도 시대 방식이지만, 나머지 공정은 현대식이다. 누룩방과 건조실, 효모 배양실과 분석실 등 공간마다 실험실 못지않은 기계 장비가 그득하다. 최신 설비를 활용해 잡균을 막고, 발효 온도를 관리해 술의 품질을 유지한다. 발효실에는 1500L짜리 대형 철재 탱크 14개에서 술이 익어 가는 중이다. 내년 봄까지 110개 탱크 분량이 만들어진다.

다나카 대표는 “과거에는 ‘도우지’(총책임자)의 경험에 의존했지만 요즘엔 데이터 덕분에 젊은 세대에게 술을 맡길 수 있게 되면서 새로운 술도 만들고 있다”며 “새로움도 전통의 일부이며, 그래야 회사가 이어 갈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그의 세 아들이 양조장 운영에 참여한 이후 개발한 술 ‘다나카65’는 출시되자마자 현지 주목을 받았다.

시라이토 양조장에서 하네기 공정으로 갓 짜낸 사케 원주. 신선한 향미가 감돈다. 시라이토 양조장에서 하네기 공정으로 갓 짜낸 사케 원주. 신선한 향미가 감돈다.
후쿠오카현 구루메 지역에서 1818년 창업한 야마노 고토부키 주조 입구. 후쿠오카현 구루메 지역에서 1818년 창업한 야마노 고토부키 주조 입구.

■ 기본기에 새로움 더하는 ‘젊은 리더십’

사케의 새로운 도전은 젊은 세대가 양조장을 물려받으면서 자연스럽게 확산하는 추세다. 후쿠오카현 구루메 지역의 야마노 고토부키 주조도 5년 전 30대의 나이에 가타야마 이쿠요(44) 대표가 전면에 나서며 변화를 맞았다.

둘째 딸로서 아버지의 뒤를 이은 가타야마 대표는 초반 2년간 기본 다지기에 충실했다. 그는 “‘다도’의 기본 정신을 떠올리며 술 빚기의 기본에 신경을 썼다”며 “우선은 업계 선배들로부터 호평을 받는 술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각종 품평회에서 수상을 하며 기본기를 갖추자 비로소 새로운 도전에 나섰다. 2020년 선보인 ‘프리스크 1·2’가 대표적이다. ‘프리스크 1’은 누룩 가스를 남겨 탄산감이 있고, ‘프리크스 2’는 수제맥주 같은 과실 향이 특징이다.

아버지 뒤를 이어 야마노 고토부키 양조장의 8대 대표에 오른 가타야마 이쿠요 씨가 양조장 역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아버지 뒤를 이어 야마노 고토부키 양조장의 8대 대표에 오른 가타야마 이쿠요 씨가 양조장 역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야마노 고토부키 양조장이 2020년 선보인 실험적인 술 ‘프리스크 1’(왼쪽)과 ‘프리스크 2’. 야마노 고토부키 양조장이 2020년 선보인 실험적인 술 ‘프리스크 1’(왼쪽)과 ‘프리스크 2’.

지난해부터는 또 다른 실험을 시작했다. ‘야마다니시키’ ‘오마치’ 같은 술전용쌀 품종이 아니라 일반쌀로 술 빚기에 나선 것이다. 가타야마 대표는 “코로나 기간에 우연히 200년 전 창업자의 일기를 발견했는데, 양조장 창업 배경이 적혀 있었다”며 “쌀이 풍부한 반면 겨울 산업이 없는 이 지역을 위해 양조장을 시작했다는 이야기를 읽고, 창업 정신을 되살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야마노 고토부키 양조장은 현재 전체 사케 생산량 중 70%는 술전용쌀, 30%는 지역에서 재배한 일반쌀을 쓴다. 작년 봄 첫선을 보인 일반 쌀 사케의 반응이 좋아 올해는 증산할 계획이다.

이에 더해 가타야마 대표는 200년 넘게 이어 오던 도우지 제도도 없앴다. 대신 직원 5명과 함께 디자인·영업·술 빚기·분석까지 모든 작업 내용을 단체 채팅방으로 공유하고 아이디어를 나눈다. ‘대표-도우지-직원’의 수직 관계를 수평적으로 바꾼 것이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양조장이기에 가능한 실험이기도 하다.

다카미 대표는 “옛날 아버지 세대라면 인정받기 힘든 새로운 리더십”이라며 “요즘 시대와 잘 맞아떨어져 재밌는 술이 등장하고 있는데, 앞으로 더 인기를 얻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중순 후쿠오카현 이토시마 지역의 한 논에서 술전용쌀 ‘야마다니시키’를 수확하고 있다. 서일본신문 제공 지난달 중순 후쿠오카현 이토시마 지역의 한 논에서 술전용쌀 ‘야마다니시키’를 수확하고 있다. 서일본신문 제공
JA(농협)이토시마에서 수확한 ‘야마다니시키’ 쌀을 정미소로 보내기에 앞서 전처리 작업을 하고 있다. JA(농협)이토시마에서 수확한 ‘야마다니시키’ 쌀을 정미소로 보내기에 앞서 전처리 작업을 하고 있다.
JA이토시마의 호리타 가츠유키(오른쪽) 양조쌀협회장이 ‘야마다니시키’ 품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JA이토시마의 호리타 가츠유키(오른쪽) 양조쌀협회장이 ‘야마다니시키’ 품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쌀 생산자와 사케 양조장의 ‘공생’

일본 사케와 우리나라 전통주는 쌀·물·누룩을 쓴다는 점에선 비슷해 보이지만, 세부적으로는 재료부터 공정까지 차이가 난다. 특히 원재료인 쌀은 출발선부터 다르다. 사케는 술전용쌀(주조호적미)을 주로 사용하는데, 1930년대 효고현에서 개발된 ‘야마다니시키’ 품종이 대표적이다. 오늘날 술전용쌀은 생산자와 양조장 사이의 ‘계약재배’가 일반적인 방식으로 자리잡았다.

야마다니시키가 전국적으로 보급되면서, 후쿠오카현 이토시마 지역도 주 생산지 중 하나가 됐다. 한때 효고현에 이어 전국 2위 생산량을 자랑했는데 현재는 5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JA(농협)이토시마 양조쌀협회 호리타 가츠유키 협회장은 “야마다니시키는 일반쌀에 비해 재배가 어렵지만 가격이 높기 때문에 농가 수익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며 “계약 물량과 실제 수확량이 차이가 나더라도, 전체 양조장에 적절하게 물량을 배분하며 수요와 공급을 조절한다”고 설명했다. 쌀 생산자와 양조장의 ‘상부상조’ 관계가 사케 산업의 든든한 토대인 셈이다.

구루메 지역의 모리노쿠라 양조장은 수시로 계약재배 논을 방문해 일손을 보태는 등 원재료인 쌀 생산부터 관여한다. 구루메 지역의 모리노쿠라 양조장은 수시로 계약재배 논을 방문해 일손을 보태는 등 원재료인 쌀 생산부터 관여한다.
모리노쿠라 양조장의 모리나가 가즈히로 대표(5대)가 선대 대표·도우지(총책임자)들이 함께한 사진을 가리키며 옛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모리노쿠라 양조장의 모리나가 가즈히로 대표(5대)가 선대 대표·도우지(총책임자)들이 함께한 사진을 가리키며 옛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모리노쿠라 양조장에서 만드는 술들. 청주와 소주, 매실주 등 다양한 사케를 생산한다. 모리노쿠라 양조장에서 만드는 술들. 청주와 소주, 매실주 등 다양한 사케를 생산한다.

구루메 지역 125년 역사의 모리노쿠라 양조장은 계약재배를 넘어 쌀 생산에 직접 관여한다. 자체 논을 보유 중이고, 계약재배 논도 수시로 방문해 일손을 돕는다. 모리나가 가즈히로(52) 대표는 “여러 음식에 어울리는, 식탁 활용도 높은 술을 만들기 위해 불필요한 부재료는 사용하지 않는다”며 “그러려면 원재료가 우수해야 하는데, 특히 대표 브랜드인 ‘모리노쿠라’와 ‘고마구라’ 2종은 지역 쌀만 고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모리노쿠라 양조장의 ‘자연 순환’ 철학도 흥미롭다. 수확한 쌀로 사케를 만든 뒤 남은 지게미로 소주를 빚고, 소주 지게미는 비료로 써서 다시 쌀을 재배하는 식이다. 조태영 대표는 “10년 전 부산에 전통주 양조장을 설립하면서부터 비슷한 방식을 구상해 왔는데, 술 빚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전체를 재활용하는 점이 인상적이다”며 “우리나라 양조장도 적극 도입해 볼 만하다”고 말했다.

후쿠오카·사가현(일본)/글·사진=이대진·히라바루 나오코(서일본신문) 기자 djrhee@busan.com


※이 기사는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가 주관한 지역신문 콘텐츠 제작지원 사업에 선정된 기사입니다. 이 사업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실시됩니다.


이대진 기자 djrhe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